티스토리 뷰
목차
공조냉동기계기능사 자격증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국가기술자격시험입니다.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냉동고압가스제조시설, 냉동기제조시설, 냉동기계와 공기조화설비를 운용하는 사업체, 저온유통업체, 식품냉동업체 등 다양한 곳에서 취업할 수 있습니다.
업무를 간략하게 말씀드리자면 고압가스 및 냉동기의 제조공정을 관리하거나, 위해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, 냉동 및 공기조화설비의 시공, 유지, 보수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합니다. 이 자격증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이 글을 통해 2024년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자격증 시험의 일정과 과목, 기출문제, 합격률 등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
2024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시험일정
2024년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시험은 필기, 실기 각 3회씩 시행되고 있습니다. 올해 일정을 아래 표에서 확인해 보세요.
공조냉동기계기능사 시험 (필기, 실기)
공조냉동기계기사 자격증은 필기와 실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먼저 필기시험을 알아보겠습니다.
1) 필기시험
- 시험과목 : 에너지관리, 공조냉동설계, 시운전 및 안전관리, 유지보수 공사관리 총 4과
- 시험방법 : 객관식 4지 택일형 유형이며 과목당 20문항씩 출제되며 시험 시간은 과목당 30분입니다.
- 합격기준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,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받으면 합격
- 응시료 : 19,400원
2) 실기시험
실기시험은 필답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필답형 시험은 주관식 문제 형 식으며 냉동 및 냉난방 설계에 대한 지식을 평가합니다.
- 시험과목 : 냉동 및 냉난방설계
- 시험방법 : 필답형 (3시간)
- 합격기준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- 응시료 : 22,600원
공조냉동기계기능사 기출문제(출제기준)
아래의 출제기준을 다운받아 출제경향이나 유형을 확인하시면 시험준비에 도움이 되실 거예요.
공조냉동기계기사 출제기준
↓ ↓ ↓
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합격률
최근 10년 이내의 합격률은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, 2015년 필기와 실기 합격률은 각각 34%, 26% 정도였는데요, 작년 2023년의 합격률은 필기 36.8%, 실기 41.2%로 꾸준히 점차 합격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
공조냉동기계기능사 일자리 채용정보 (구인)
공조냉동기계기능사 일자리 채용정보는 아래의 워크넷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아래의 바로가기를 통해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에 가셔서 일자리 정보 탭을 누르시면 일자리 정보가 검색됩니다.
2024 노인일자리 지원사업 대상 및 신청방법
2024 노인일자리 지원 사업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 평균 수명 100세 시대에는 은퇴 후에도 경제적 활동이 필요합니다. 사실 경제 활동 없이 노후 생활을 유지하기는 어려운 요즘 시대이죠.
helpful.wellgoodtip.com